탄원서 쓰는법 | 억울함을 제대로 호소하세요!

 살다보면 억울한 일이 참 많은데요. 내 억울함을 모두가 다 알아주지는 않습니다. 법원에서 역시 마찬가지인데요. 내가 말을 해야 내가 억울한 부분을 어필할 수 있겠죠? 그래서 오늘은 탄원서 쓰는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선 탄원서란 무엇인지 아시나요? 일반인들은 법에 대해 잘 알기 쉽지 않은데요. 탄원서란 나라나 공공기관에 억울함을 호소하거나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내 사정이 이러이러하니 날 좀 도와달라라는 문서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시기 편할 겁니다.

 

 이는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작성하기도 하지만 법원에서 어떠한 처벌을 받았을 때 나의 사정이나 억울함을 호소하여 처분을 취소하거나 적게 받기 위해 작성을 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식으로 쓰는 것이 좋은지 탄원서 쓰는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위는 비즈폼이라는 서식사전에서 탄원서 예시를 가져온 것인데요. 위를 참고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탄원서 샘플을 보시면 탄원서를 이해하고 작성하시는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위를 보시면 우선 탄원인의 이름과 주소 및 연락처가 기재되어 있는데요.

 

 탄원인이란 억울함을 호소하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본인을 말합니다. 이곳에 이름과 연락처, 주소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그 밑의 내용은 어찌보면 형식상의 내용이라고 할 수도 있는데요. 간단히 법관에게 고생이 많다며 왜 법관에게 요청하는지를 간단히 적게 됩니다.

 

 

 그 다음에는 탄원취지에 대해서 작성을 하게 되는데요. 탄원취지란 왜 이 탄원서를 작성했고, 제출하려고 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적게 됩니다. 이때 구구절절하게 길게 모든 이유를 적는 것은 아닙니다. 간결하게 작성하여 어떠한 말을 하려고 하는지 정확히 알리는 것이 중요한데요.

 

 

 길지 않게 쓰되, 정확히 왜 탄원서를 제출하는지 알 수 있게 쓰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떠한 사건이 발생했으며, 거기서 어떠한 일이 있었고, 어떠한 점이 불만이거나 부당한 대우를 받아 탄원서를 작성한다고 적으시면 됩니다. 이때 간결하지만 정중하게 적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다음에는 가장 중요한 탄원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어떠한 사건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등 육하원칙에 따라 정확하게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사실을 작성하셔야 하며, 객관적인 입장에서 작성을 하셔야 합니다.

 

 

 이때 증거가 있다면 탄원 주장에 무게가 실릴 수 있는데요. 이 역시 당연히 조작된 증거가 아니라 진실한 증거여야 하겠죠? 만약 증거가 조작된 것이 들통난다면 가중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고 하니 조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탄원서 쓰는법에서 중요한 점을 다시 말씀드리면 간결, 정확, 정중하게 쓰셔야 하는데요. 본인의 견해보다는 사실을 기술하여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게 해야합니다. 물론, 탄원서가 판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무조건 탄원서만 믿으시는 것보다는 그냥 사실을 알리고 선처를 호소하는 용도라고 생각하시는 것이 편할수도 있겠습니다.

 

▼최근 유용한 글 모음▼

 

치질수술이 회복되는 기간은?

 

위가 부은 느낌이 들 때는?

 

공무원은 급여를 얼마나 받을까?

=====================

 

 

댓글 트랙백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