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근로소득세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을 해서 급여를 받으면 세금을 내게 되어 있는데요. 과연 근로소득세 세율은 얼마나 되며, 근로소득세 납부 방법은 어떠한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소득세에 대해서 간단히 짚고 넘어가는 게 좋을 것 같은데요. 근로소득이란 위에서 간단히 말씀드린 것과 같이 일을 하고 받는 돈에 의하여 올해 받은 소득의 정도에 따라 세금을 달리 내는 것을 말합니다. 근로소득에는 일을 하는 것도 있지만 금전 소득 말고도 주식 같은 것도 근로소득에 포함이 된다고 합니다.
근로소득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우리가 받는 월급만 근로소득인 것은 아닙니다. 근로소득세 납부를 할 때보면 참 많은 항목이 있는데요. 기본적인 급여나, 세비, 상여금, 특별수당 등 다양한 항목이 포함됩니다. 일을 해서 받는 수입은 추가수입까지도 근로소득에 포함이 된다고 합니다.
그러면 근로소득세 계산법이 궁금하실텐데요. 요즘에는 근로소득세 계산기도 나와있어 간편하게 계산결과를 받아볼 수 있는데요. 어떠한 과정으로 계산이 되는지 간략히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근로소득금액이라는 것이 있는데, 근로소득음액은 총 급여액에서 근로소득공제액을 뺀 것이 됩니다. 그 다음 근로소득 과세표준으로 넘어가는데요. 이는 앞에서 계산한 근로소득금액에서 종합소득공제액을 빼면 됩니다.
그 다음으로 계산해야될 항목은 산출세액인데요. 위에 계산한 과세표준에 기본세율을 곱해주면 됩니다. 기본세율은 6에서 38%까지 부과가 되는데요. 본인의 급여에 따라 차등 부과됩니다. 급여가 많을수록 더 많은 세금이 부과된다는 말입니다.
이렇게 산출세액을 구했다면 마지막으로 납부할 세액을 구할 수 있는데요. 산출세액에서 세액공제가 되는 금액이 있으면 빼고, 이미 납부한 세금인 기납부 세액이 있으면 또 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최종 근로소득세 납부를 해야하는 금액이 정해지게 됩니다.
근로소득세 계산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위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요즘에는 정말 잘돼 있어서 홈페이지에 들어가보시면 근로소득세 계산기가 있는데요. 근로소득세 세율을 몰라도 필요한 정보만 입력하면 다 계산이 되어 나온다고 합니다.
다만 본인이 간과하고 있는 부분이 있을수도 있어 100퍼센트 정확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이는 계산기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 본인이 깜빡하고 입력하지 않은 부분이 있을수도 있다는 얘기인데요. 나라에서 실제 세금을 떼어가거나 돌려줄 때는 다 포함되어 계산기 됩니다.
지금까지 근로소득세 계산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기한내에 납부를 하지 않으시면 본인에게 불리하니 근로소득세 납부는 지정된 기간안에 납부를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열심히 일했는데 돈을 많이벌면 많이벌수록 세금을 많이 떼가기는 하지만 일에서 즐거움을 찾는다면 크게 아까운 돈은 아니리라 생각합니다.
▼최근 유용한 글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