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결석 빼는법 | 원인 | 냄새도 난다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편도결석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편도결석이란 무엇이며, 왜 생기는 것이고 편도결석 빼는법은 어떻게 되는지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양치질을 열심히 해도 입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는데요. 혹시나 편도결석은 아닌지 포스팅을 잘 살펴보세요!

 

 

□ 편도결석이란?

 

 가끔 양치질을 하다보면 입 안에서 흰 알갱이가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것이 바로 편도결석입니다. 편도결석이란 우리 입 안에 있는 편도에 흰색 알갱이처럼 음식물들이나 세균이 모여서 만들어진 알갱이가 있습니다.

 

 누구에게나 있는 것은 아닌데요. 이 알갱이가 생기면 목에 무언가 걸려있는 느낌을 항상 받으며, 아주 딱딱하지는 않지만 딱딱한 알갱이 때문에 입냄새도 심하게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원인은 무엇?

 

 편도결석이 생기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편도염 때문입니다. 편도염이 자주 나타나다보면 편도에 구멍이 생기기 시작하는데요. 음식물을 먹다가 작은 음식물들이 이 구멍에 걸리면서 뭉치다보면 알갱이가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구멍에 끼이면서 음식물이 소화되지 못하고 한참을 방치되고 있으니 입을 통해 냄새가 나는 것입니다. 편도결석은 특히나 비염 등의 질환을 가진 분들에게 더 잘 나타나는데요. 콧물 등을 목 뒤로 삼키면서 이 편도에 세균 등이 걸리게 되면 편도결석이 더 잘 생기게 된다고 합니다.

 

 

□ 치료 방법은?

 

 편도결석 빼는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집에서 혼자서 빼는 방법도 있고, 병원에 가서 치료를 하는 방법도 있는데요.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양치질을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빠져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연히 빠지지 않을 경우는 면봉을 이용하여 빼내기도 하는데요. 이때는 직접 피부에 닿기 때문에 세균 감염을 조심하셔야 합니다. 다만 참고하셔야할 점은 면봉으로 빼내든 양치질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빠지든 편도에 있는 구멍은 그대로라는 것입니다.

 

0123

 

 구멍이 그대로 존재하면 편도결석을 빼내더라도 다시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가장 좋은 치료 방법은 병원에가서 편도를 제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는 물론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고 전문의와 상담을 하신 후에 결정하실 일입니다.

 

 편도결석이 생기는 것을 애초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입 안의 청결을 꾸준히 관리해주시구요. 비염 등의 치료 역시 신경을 써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피로를 해결하지 못할경우 면역력이 낮아져 생기는 경우가 많으니 신경써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편도결석 빼는법과 편도결석 원인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른 글 보기▼

 

변리사는 연봉을 얼마나 받을까?

 

지방이식을 할 때 부작용은?

 

금강제화 상품권은 어디서 사용할까?

=====================

 

 

댓글 트랙백

Designed by CMSFactory.NET